- 작성일
- 2023.10.18
- 수정일
- 2023.10.18
- 작성자
- 최진우
- 조회수
- 225
[통일한국연구원] 제21회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 부산대회 개최 알림
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와 부산대학교 통일한국연구원이 공동주관하는
제21회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 부산대회가 11월 4일~5일 부산대학교 본관 3층 대회의실에서 개최됩니다.
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.
<제21회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 부산대회>
○ 대주제 : ‘다시 아시아 평화를 묻다’
○ 일 시 : 2023년 11월 4일(토) ~ 11월 5일(일)
○ 장 소 : 부산대학교 본관 3층 대회의실
○ 주 관 : 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·부산대학교 통일한국연구원
○ 주 최 : 【한국】?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? 한국 실행위원회(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·참 여연대 평화군축센터·전국역사교사모임)·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·부산대학교 통일한 국연구원
【중국】?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? 중국 실행위원회
【일본】?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? 일본 실행위원회
○ 후 원 : 한국연구재단
□ 일정
○ 전체일정 : 11월 3일(금) ~ 11월 6일(월)
날짜 | 주요일정 | 장소 |
11.3(금) | 각국 참가자 입국, 대표자 회의 | 호텔 농심 |
11.4(토) | 개회식, 세션1, 세션2 | 부산대 본관 3층 대회의실 |
11.5(일) | 세션3, 세션4, 폐회식 | 부산대 본관 3층 대회의실 |
11.6(월) | 현장답사 | 부산지역 역사유적 답사 |
11.7(화) | 평화포럼 참가자 귀국 |
|
※ 위 일정은 현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.
○ 상세 프로그램
일정 | 주요내용 | |
11.3 (금) | ~18:00 | 중, 일 참가자 입국 |
19:00~ | 석식 / 대표자회의 | |
11.4 (토) | 개회식 / 사회 : 김지훈(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중국위원장) | |
09:30~10:20 (발표 각 10분) | 개회사 한: 이인석(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공동대표) 중: 지샹더(冀祥德, 사회과학문헌출판사 사장) 일: 가사하라 도쿠시(笠原十九司, 일본실행위원회 공동대표) 환영사: 전충환(부산대학교 대외협력부총장) 기념촬영 | |
10:20~10:40 | 휴식 | |
기조보고 : 다시 아시아 평화를 묻다 / 사회 : 세키하라 마사히로(?原正裕,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 일본 실행위원) | ||
10:40~11:40 (발표 각 20분) | 일: 「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의 원점에 서서」, 시노타니 요코(?谷陽子, 어린이와 교과서 전국 넷 21 사무국 차장) 중: 「패권주의에 반대하는 역사 자각을 논함」, 쉬즈민(徐志民,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이론 연구소 연구원) 한: 강창일(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이사장) | |
11:40~13:00 | 점심 | |
세션 1. 한국전쟁 정전 70주년과 동아시아평화 / 사회 : 오미일(부산대학교 통일한국연구원 부교수) | ||
13:00~14:00 (발표 각 20분) | 중: 「“류큐처분”으로 본 일본?미국의 게임 방법」, 장셩(張生, 난징대학역사학부 교수) 일: 「한국전쟁 종식에서 동아시아 평화공동체로」, 후세 유진(布施祐仁, 저널리스트) 한: 「정전 70년, 위기의 한반도와 동아시아 ‘선제타격’ 독트린의 득세와 전쟁의 가능성」, 서재정(일본국제기독대학교) | |
14:00~14:50 (토론 각 15분) | 중: 줘슈앙원(左?文, 화남사범대학 역사문화대학 교수) 일: 하바 구미코(羽場久美子, 아오야마가쿠인대학 명예교수) 한: 황수영(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팀장) | |
14:50~15:10 | 휴식 | |
세션 2. 전쟁과 식민지배 청산운동의 현황과 과제 / 사회 : 우이숑(??雄, 중산대학 역사학과 교수) | ||
15:10~16:10 (발표 각 20분) | 한: 「가해자와 피해자의 자리: 일제시기 강제동원과 베트남전 민간인학살에 대한 한국 법원의 판결과 그 판결에 대한 사회적 반응」, 임재성(변호사) 중: 「“집단 부락”과 생태 재난 : 일본 괴뢰가 동북을 통치하던 시기의 악랄한 “치본(治 本)” 계책」, 왕시량(王希亮, 흑룡강성사회과학원역사연구소 연구원) 일: 「1923년 9월 「조선인·중국인 학살」과、2023년 9월의 「갈등」」, 가토 나오키(加藤直 樹, 저널리스트·작가) | |
16:10~17:00 (토론 각 15분) | 한: 한혜인(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연구위원) 중: 장량친(姜良芹, 난징대학 역사학부 교수) 일: 야노 히데키(矢野秀喜, 강제동원 문제 해결과 과거 청산을 위한 공동행동) | |
18:00~ | 환영만찬 | |
11/5 (일) | 세션 3. 환경교육과 시민사회 / 사회 : 이세영(아시아평화와역사연구소 연구위원) | |
10:00~11:00 (발표 각 20분) | 일: 「후쿠시마 원전사고 오염수」, 이토 타츠야(伊東達也, 이와키시민소송원고단) 중: 「도시위생과 중국 환경교육의 기원」, 두리홍(杜麗紅, 중산대학교(주하이) 역사학과 교수) 한: 「2022개정 역사과 교육과정과 생태시민사회 형성」, 이경훈(경기 화홍고) | |
11:00~11:45 (토론 각 15분) | 일: 고지마 가츠스케(小島浩介, 가나가와고등교육그룹·평화운동추진위원회) 중: 볜슈위에(卞修?, 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 연구원) 한: 천장수(수원 능실중) | |
12:00~13:30 | 점심 | |
세션 4. 한중일 교실에서 본 청소년 상호인식 / 사회 : 시바타 타케시 (柴田健, 역사인식과 동아시아 평화포럼 일본 실행위원) | ||
13:30~14:30 (발표 각 20분) | 중: 「현대 중국 청소년의 일본과 한국의 역사문화 인식에 대한 조사 및 분석」, 리후이후이(李慧慧, 베이징 광취먼중학교 수석교사) 일: 「그림책 『꽃할머니』에서 생각한 일본군‘위안부’문제」, 후지타 야스로(藤田康?, 역사 교육자 협의회 모토와코 초등학교 교원) 한: 「교실에서 함께 만드는 수업 서사, ‘동아시아 평화’」, 문순창(광명 하안북중 교사) | |
14:30~15:15 (토론 각 15분) | 중: 스꾸이팡(史桂芳, 수도사범대학 역사학부 교수) 일: 히라노 노보루(平野昇, 역사교육자협의회) 한: 정연두(부산 부경고 교사) | |
15:15~15:30 | 휴식 | |
폐회식 / 사회: 자오칭윈(??云, 중국사회과학원 역사이론연구소 연구원) | ||
15:30~16:00 | 일: 스즈키 도시오(鈴木敏夫, 어린이와 교과서 전국넷21 사무국장) 중: 리시주(중국사회과학원 근대사연구소 연구원) 한: 이신철(아시아평화와역사교육연대 운영위원장) 공동성명, 공동행동안 | |
18:30 | 환송 만찬 | |
11/6 (월) | 현장 답사 ※ 참가비 별도 | |
10:00~18:00 | ①구일본해군관련유적(가덕도 구일본군 해군기지) ②강제동원관련유적(부산항, 노동자?평화의소녀상), ③ 한국전쟁관련 유적(구 미군기지터) 등 | |
저녁 | 해산 |
- 첨부파일
- 첨부파일이(가) 없습니다.